본문 바로가기

언어/JAVA

14장 예외처리

자바에는 예외(Exception)이라는 것이 있다.

자바공부를 하다보면 개발을 위해서 없으면 안되는, 예외를 생각하지 않고는 안전한 프로그램 개발이 쉽지않다는 것을 알게된다. 사용자의 잘못된 조작이나 개발자의 코딩 실수로 인해 발생하는 프로그램 오류를 무시하고 싶거나, 에러가 날 때 그에 맞는 적절한 처리를 하고 싶을 때에 자바는 try ... catch, throw등을 적절하게 사용하면 된다.

 

예외의 세가지 종류

  • checked exception
  • error
  • runtime exception or unchecked exception

두번째와 세번째에 있는 error와 unchecked exception를 제외한 모든 예외는 checked exciption이다. 

예외클래스 구조

 

예외 처리 종류

try-catch

try {
 // 예외1 발생위치
 // 예외2 발생위치
} catch(예외1) {
    ...
} catch(예외2) {
    ...
...
}

/////////////////////////////

try문안의 수행할 문장들에서 예외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catch문 다음의 문장들은 수행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try문안의 문장들을 수행 중 해당예외가 발생하면 예외에 해당되는 catch문이 수행된다.

 

finally

try-catch 구문에 추가로 붙을 수 있는데 바로 finally다. 자바에서 예외처리를 할 때 finally는 "어떠한 경우에도 넌 반드시 실행되어야한다."라는 의미이다.

        try {
            c = 4 / 0;
        } catch (ArithmeticException e) {
            c = -1;
        } finally {
            //반드시 실행되어야하는 구문
        }

finally 구문은 try문장 수행 중 예외발생 여부에 상관없이 무조건 실행된다.

 

 

 

 

참고 - https://chanhuiseok.github.io/posts/java-3/

https://wikidocs.net/229

https://www.nextree.co.kr/p3239/

'언어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장 어노테이션  (0) 2021.10.28
15장 Nested 클래스  (0) 2021.10.27
13 인터페이스 / 추상클래스 / enum  (0) 2021.10.22
12장 object  (0) 2021.10.22
11장 API  (0) 2021.10.21